
식약청·농심 “인체 무해” VS 이 의원 “벤조피렌 검출”
소비자 “먹거리 안전 불안… 대안 없는 ‘폭로’ 혼란 가중”
[쿠키 건강]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발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단순 폭로식이어서 소비자 혼란만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언주(민주통합당) 의원은 "농심 '너구리(사진)' 봉지 라면과 컵라면, 새우탕 큰사발면 등 라면 제품 6개의 스프에서 발암물질 벤조피렌이 검출됐다"고 폭로했다. 특히 이 의원은 "보건당국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런 사실을 뒤늦게 알렸고 별다른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같은 폭로에 대해 식약청과 농심은 즉각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며 해명에 나섰다.
식약청은 “농심과 농심에 스프를 납품하는 계열사 태경농산 등이 제조해 국내에 유통한 라면스프 등 30개 제품의 벤조피렌 함량을 검사한 결과, 불검출~4.7ppb로 우리나라 훈제건조어육 기준(10ppb이하) 보다 낮은 안전한 수준”이라고 해명했다. 농심 측도 “지난 6월 문제가 제기돼 관련 제품을 외부 공인 기관에 의뢰한 결과, 불검출로 나타났다”며 “제품은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의견이 분분하자 일각에선 이 의원의 폭로가 24일 식약청 종합 국정감사를 앞두고 보여주기식 행태라는 비난도 일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들은 “스프에 대한 발암물질 검출 기준도 없는 상황에서 단순히 발암물질이 나왔다는 사실에 근거에 폭로하는 행태는 자칫 소비자를 혼란에 빠지게 할 수 있는 문제”라며 “국민 먹거리를 국정감사용으로 이용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소비자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주부 김모(30·서울시 마포구)씨는 “그럼 그간 해당 제품을 먹은 소비자는 어떻게 되는 거며, 이미 구매한 제품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스프에서 발암물질이 나왔다는 것은 알겠으나 안전하다는 보건당국의 입장은 또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제품에 문제가 있으면 그에 따른 대안도 있었으면 좋겠다. 대안 없는 비판은 자칫 소비자만 혼란스럽게 할 뿐”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오늘(24일) 있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식약청 종합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발암물질 스프’에 대해 논란을 일으킨 이 의원이 국민들을 위해 어떤 대안을 들고 나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