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 "문책 범위 넓혀야"…‘윤창중’ 문책론 계기 속내 드러내는 親朴"

"[여의나루] "문책 범위 넓혀야"…‘윤창중’ 문책론 계기 속내 드러내는 親朴"

기사승인 2013-05-15 17:35:01
"
‘윤창중 성추행 의혹 사건’에 문책론을 제기하는 새누리당 의원들의 속내는 뭘까. 스캔들로부터 박근혜 대통령을 엄호해야 할 친박(親朴·친박근혜) 진영이 “문책의 범위를 넓히자”며 거꾸로 청와대를 겨냥하고 있다. 친박의 은밀한(?) 속내가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당의 공식 입장은 “문책보다 진상 파악이 먼저”다. 황우여 대표는 14일 박 대통령과의 오찬 회동 뒤 “조사·감찰 이후에 엄중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홍보라인의 교체 필요성을 주문하면서도 파장 확산엔 조심스런 입장이다.

하지만 친박 성향 의원들은 책임을 더 강하게 물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15일 라디오에 출연해 “만일 다른 분들이 개입되어 있다고 한다면 그분들도 책임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주영 의원도 원내대표 경선 직전 책임자 확대 가능성을 언급했다.

때문에 당내에선 지도부가 향후 청와대에 이남기 홍보수석 윗선의 책임을 요구할 것이란 소문이 파다하다. 이 수석이 허태열 비서실장 등 다른 관계자와 논의 없이 독자적으로 행동하지는 않았을 것이란 추측이 전제돼 있다.

심지어 친박 진영에선 금기시됐던 박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에 대한 노골적인 반감까지 나온다. 윤 전 대변인과 이 수석 그리고 이전 사례인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까지 물의를 일으킨 인사들의 면면을 보면 추천 과정이 투명치 않다는 것이다. 이들의 전직, 학연, 지연 등을 총망라해보니 권력 실세와 친박 원로 그룹 등이 막후에서 인선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차제에 이런 식의 추천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또 다른 참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제 살 깎기 식 공세의 배경엔 현 정권 ‘개국공신’이면서도 개각(改閣)과정에서 소외된 일부 친박 인사들의 불만이 자리 잡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대선 때 열심히 뛰었던 인사들을 중심으로 청와대에 대한 불만이 누적돼 있다”며 “공적을 기준으로 ‘자리’ 문제를 얘기하려 해도 대(對) 청와대 통로자체가 마땅치 않은 게 현실”이라고 털어놨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인기 기사]

▶ ‘윤창중 성추행’ 신고 여직원까지 신상정보 유출…“반역자라고?”

▶ [단독] 윤창중 또 거짓…“호텔방서 인턴에 4~5차례 전화”

▶ 속속 드러난 윤창중의 기행…“왜 나는 고급차 안줘”

▶ [친절한 쿡기자] “금팬티? 은팬티? 노팬티!”…이런 경우 처음이야

▶ ‘윤창중 피해 여성’ 사진 확산… 신상유출 우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유동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