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인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0일(일) 소방청에서 제출받은 ‘대형화재취약대상 지정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기준 취약한 중점관리대상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1295곳, 경기 795곳, 인천 726곳, 충남 504곳, 경북 494곳, 전북 357곳으로, 이들 6개 지역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2017년(6907곳) 대비 증가한 지역은 인천 35곳(691→726), 서울 37곳(1258→1295), 경북 21곳(473→494), 창원 18곳(99→117) 등이다.
특히 서울의 경우 2017년부터 3년 연속으로 지정된 건축물에는 63빌딩, 코엑스, 삼성전자서초사옥, 마포한화오벨리스크, 롯데백화점잠실점, 디큐브시티 등이 있다. 평소 상주인원 및 유동인구가 많은 건축물로 해당 주요 시설들에 대한 각별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
전혜숙 위원장은 “화재발생시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평소 사고위험과 대량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책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한 뒤, “소방당국은 겨울철을 앞두고 대형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화재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화재시 대피로, 대응방법 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