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 따르면 제11차 중앙집행위원회(중집) 회의에서 노사정 최종 합의안에 대한 추인이 이뤄지지 않았다. 과반의 중집 위원들은 합의안에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한국경영자총협회, 대한상공회의소, 정부는 코로나19 위기 타개를 위한 노사정 대화를 진행해왔다. 이는 민주노총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노사정은 최근 잠정 합의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민주노총 내부 반발이 거세지며 합의문 발표는 무산됐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중집에서 추인이 이뤄지지 않자 임시 대의원대회를 소집했다. 오는 20일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안건을 올려 재차 논의하겠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은 노사정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지난달 29일~30일 중집을 열고 노사정 합의안 추인을 시도했으나 불발됐다. 지난 1일에도 노사정 협약식을 앞두고 추인을 받으려 했으나 내부 구성원의 반발로 이뤄지지 못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사회적 대화의 최종안은 의미가 있다”며 “재난 기간 비정규 취약 노동자 보호, 전국민 고용보험 도입, 아프면 쉴 수 있는 상병수당, 임금 양보론 차단 등 우리가 처음 사회적 대화를 제안한 취지에 맞게 주요 내용이 만들어졌다. 이것을 살려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임시 대의원대회 소집에 대한 비판도 나온다. 다수의 중집 위원들은 3일 성명을 통해 “김 위원장은 노사정 잠정 합의문에 대한 중집 성원의 합리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끝내 임시 대의원대회 소집을 강행하겠다고 선언한 채 회의를 마쳤다”며 “조직을 혼란과 갈등으로 몰아가는 일방적 임시 대의원대회 소집 선언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에 대한 우회적 비판도 있었다. 정문주 한국노총 정책1본부장은 “민주노총이 20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개최한다고 하는데 개최 자체가 확실하지 않다고 본다”며 “코로나19 문제가 장기화하고 피해가 집중적으로 현장에서 나타나는데 마냥 기다릴 상황이 아니다”라고 이야기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양대노총이 모두 참여한 노사정 대화는 지난 1998년 ‘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IMF)’ 노사정 대타협 이후 처음이다. 당시 노사정은 사회협약을 통해 노동유연성을 위한 정리해고제의 조기 실시와 파견근로제의 법제화, 사회보장제도 확충, 고용 안정 및 실업대책 등에 합의했다. 그러나 정리해고 중심의 구조조정이 이뤄지며 대량의 실업자가 발생했다. 민주노총은 이에 반발해 노사정 대화 탈퇴를 선언했다. 이후 경사노위 등 사회적 대화에 일체 참여를 거부 중이다.
soyeon@kukinews.com / 사진=박효상 기자 tina@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