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업계에 따르면, 설 선물세트 판매를 개시한 롯데와 현대 백화점을 비롯, 이마트 등 대형마트에서도 설 선물세트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 한우 등 프리미엄 선물세트 뿐 아니라 김과 같은 가성비 세트도 인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백화점은 올해 설 선물세트가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한 지난달 25일부터 30일까지 6일간 매출이 지난해 설과 비교해 109.9% 증가했다. 이 기간 과일(258%)과 한우(145%) 등 신선식품 선물세트 매출이 176% 늘어 전체 선물세트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롯데백화점도 지난달 18일부터 30일까지 설 선물세트 매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설보다 매출이 54% 올랐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건강 상품군이 명절 선물세트 판매 1위를 차지한 것과 달리 올해는 정육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형마트에서도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선물세트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마트에서는 이에 힘입어 설 사전예약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마트와 SSG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24일부터 지난달 28일까지 설 선물세트 사전예약 기간 매출이 지난해 사전예약 기간(2019년 12월5일~2020년 1월9일)에 비해 각각 53.0%, 97.1% 늘어났다. 이는 역대 설 사전예약 기간 중 최고치다.
이마트에선 20만원 이상의 선물세트 매출이 지난해 설 같은 기간보다 79.8% 늘었다. SSG닷컴도 20만원 이상 세트 판매가 212.8% 증가해 전체 선물세트 매출 신장을 이끌었다.
정부가 농수축산물에 한해 청탁금지법(김영란법)상 선물가액 한도를 20만원으로 상향하면서 10만~20만원대 신선 세트들도 인기를 끌었다. 이마트 인삼, 더덕 등 채소 세트의 경우 매출이 전년대비 678.8% 증가했고, 축산 우육 세트 매출이 25.9%, 굴비 등 수산 세트의 경우도 92.1%의 고신장을 나타냈다.

롯데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24일부터 지난달 28일까지 설 선물세트 사전예약 기간 동안 매출을 보니 김 세트가 지난해 설 대비 46.7%, 육포는 92.0% 신장했다. 홈파티에서 간편하게 먹기 좋다는 점이 육포가 잘 팔린 이유로 분석된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프리미엄 선물세트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지만, 부담없이 구입하고 선물할 수 있는 가성비 선물세트에 대한 수요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며 “사전예약 기간 수요를 고려해 본 판매에서 가성비 선물세트도 다양하게 준비했다”고 말했다.
ist1076@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