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봉쇄된 국가이기 때문에 인터넷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북한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핸드폰과 유선 인터넷을 갖추고 있다. 다만, 외국인에게 유료로 제공되며 북한 주민들에겐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처음 북한을 방문했을 때 인터넷이 제한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책과 소설을 가져가고, 컴퓨터 하드웨어에 드라마와 영화를 많이 저장해 두었다. 2011년과 2012년에는 유학생들이 국제통화가 가능한 2G SIM카드를 개통할 수 있었다.
하지만 매 학기 초에 지도 선생님의 안내로 국제통신국에 가서 여권으로 신원을 확인한 후 개통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는 외국인들 간에만 통신이 가능한 선불 SIM카드였다. 통신료는 정해진 장소에서 충전카드를 구매하거나 현금으로 지불해야 했다. 북한 유학생 숙소에서의 피자 파티. 자그마한 휴대폰 2개가 보인다. 사진=육준우 제공 국제전화를 하려면 1분당 약 2달러의 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급한 일이 아니라면 부모님으로부터 국제전화를 받는 것이 더 저렴했다. 만약 급하게 부모님과 연락해야 할 일이 생기면, 부모님께 전화를 걸어 끊은 다음, 다시 부모님이 내게 국제전화를 걸어 통신료를 아끼곤 했다.
인터넷을 하지 않고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으면 하루가 길게 느껴진다는 말고 있는데, 생각해보면 오히려 그런 상황의 유학생활이 즐거웠던 것 같다.
하루 종일 인터넷에 몰두하지 않고 친구들과 함께 식사를 하고, 산책을 하거나 영화를 보며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때로는 조용히 책을 읽는 시간도 가졌다.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 사람들과 매일 대화를 나눴던 소중한 시간들이 그리워진다.
2013년쯤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모바일 3G 인터넷이 제공되기 시작했다. 약 120달러의 개통비를 지불하면 월25달러에 100MB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었다.
그 시기에는 북한 핸드폰이 아닌 중국에서 가져온 애플이나 삼성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었고, 비로소 실시간으로 부모님과 친구들에게 연락할 수 있게 되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유학생 숙소까지 광대역 인터넷 설치가 가능 해졌으며 가격도 월 900달러에서 300달러로 인하되었다.
적으면 3~4명, 많으면6~7명이 하나의 광대역을 신청할 수 있었는데 개인당 월 50~100달러 정도를 지불하면 데이터 제한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원래는 Wi-Fi 설치가 금지되어 있지만, 우리는 몰래 중국에서 가져온 Wi-Fi를 설치하여 노트북과 핸드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물론 돌발적인 Wi-Fi 설치 검사가 있긴 하지만 미리 지운 뒤 숨겨놓으면 문제가 되지 않았다.
북한 유학 생활에서 가장 큰 비용은 인터넷 사용료였다. 그래도 숙소까지 인터넷이 설치되어 있어 데이터 걱정 없이 부모님과 영상 통화도 할 수 있었다.
인스타그램이나 트위터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고 가끔 특정한 상황에서는 차단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에는 접속할 수 있었다. IP 주소도 북한으로 표시되어 있어 북한에서도 사용되었다는 어느 사이트의 보고서를 본 적도 있었다.
유학기간 동안 북한의 인터넷 통신 변화를 체감했던 것도 오랜 기억에 남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인터넷이 없으면 일상이 멈춰지는 지금의 시간 속에서 아날로그한 시간을 즐겼던 추억이 가끔씩 그리움으로 떠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