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미국 재무장관과 면담을 앞둔 최상목 경제부총리를 향해 “미국 국채에 투자한 최 부총리가 우리 국익에 부합한 협상을 하겠는가”라고 비판했다.
박 직무대행은 17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위원회의에서 “(미국과 상호관세 협상은) 무리하게 서둘러 진행할 가벼운 사안이 아니다”라며 “임기 두 달도 남지 않은 최 부총리가 협상을 진행할 권한도 없고, 책임질 수도 없다”고 지적했다.
최 부총리는 오는 22일부터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참석을 위한 미국 방문을 계기로 베센트 장관을 면담할 예정이다. 베센트 장관이 미국의 관세 정책 운용을 담당하는 만큼, 이번 면담 제안은 사실상 국가별 상호관세 협상을 공식화한 것이라는 풀이다.
박 직무대행은 “최 부총리는 전날 국회 법사위의 탄핵 청문회에서 5분도 안 되어 탄로날 거짓말을 했다”며 “최 부총리는 12·3 내란 사태 이후 핸드폰을 바꾼 적 없다고 주장했으나 바로 교체 기록이 드러났다”고 짚었다.
이어 “국회 무시, 국민 무시 행태”라며 “이런 사람이 엄중한 시기에 국가 운영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 걱정된다. 국민도 기대를 접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특히 미국 관세 협상을 졸속 처리할까 봐 노심초사해야 할 상황까지 왔다”며 “권한도 없고 능력도 없는 자가 미국과의 협상에 나설 자격이 있는가. 최선은 차기 정부가 구성될 때까지 최대한 시간을 버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직무대행은 “만일 졸속 협상으로 우리 경제 앞날을 발목 잡고 국익을 저해한다면 두고두고 ‘신(新) 을사오적’으로 이름을 남기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