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방렴은 조류가 빠른 해역에 대나무를 엮어 만든 어살을 설치해 물살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 특히 멸치를 포획하는 전통 어법이다. 500년 이상 전승돼 온 이 방식은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하고, 어획물의 품질을 유지하는 어업의 모범으로 꼽힌다. 그 가치로 인해 2010년 명승, 2015년 국가중요어업유산, 2019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돼 보호되고 있다.
지족해협 일대는 죽방렴뿐 아니라 농업과 어업을 연계해 지역 주민의 생계를 꾸리는 대표적 복합 생계모델 지역이다. 남해군은 유자, 마늘, 시금치 등 특산물 재배와 병행한 자급적 농어촌 경제를 구축해왔으며, 이러한 전통 지식과 생계 방식의 통합은 FAO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핵심 요소다.
FAO 실사단은 이번 현장 실사에서 죽방렴의 구조와 작동 방식, 지역 주민의 어업 활동, 그리고 농업과의 연계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실사 일정에는 지족해협 일원의 죽방렴 현장체험, 인근 농업 소개, 지역 주민 인터뷰 등이 포함된다.
남해군은 이번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가 단순한 어업 유산 보호를 넘어, 지역 경제와 생태 보전, 그리고 전통 지식의 국제적 인정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한다. 특히 세계유산 등재 이후에는 어촌·농촌 관광 활성화, 전통 생계 시스템에 대한 학술·교육적 활용 등 다양한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군 관계자는 "죽방렴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슬기로운 어업 방식이며, 지역민들의 삶과 뗄 수 없는 공동체 자산"이라며 "이번 FAO 실사가 남해의 전통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도약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남해=강연만 기자 kk7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