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정보분석원(FIU)이 5월13일 개정 자금세탁방지 업무규정 시행을 앞두고 금융회사 등에 차질 없는 추진을 당부했다.
FIU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자금세탁방지(AML) 유관기관 협의회에 은행·금투·생보·카지노 협회·핀테크 등 16개 유관기관 임원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AML 의무는 은행 등 금융회사뿐만 아니라 카지노, 가상자산사업자 등 9000여개 회사에 부과되고 있다. 이에 FIU는 AML 정책의 효율적 이행을 위한 사항 및 업권 애로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이날 협의회는 각 유관기관이 점검한 개정 자금세탁방지 업무규정에 대한 이행 준비 현황과 업권별 최신 자금세탁 이슈 등을 공유해 업권간 AML 역량의 일관성을 높이고자 개최됐다.
5월13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개정된 업무규정에 따르면 회사는 자금세탁방지 업무지침을 제·개정 및 폐지할 때 이사회 의결을 거쳐야 한다. 특히 은행은 보고책임자를 이사 또는 업무집행책임자 중 임명해야 한다.
유관기관은 개정 업무규정 시행을 앞두고 ‘자금세탁방지 업무지침’을 이사회에 상정하기 위해 관련 규정 및 절차 등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보고책임자를 선임하는 데 있어서 개정 업무규정에서 명시한 최소직위 요건 충족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유관기관은 업권별로 의심거래 정보를 공유하는 ‘의심거래 동향정보 공유 협의체’를 통해 발굴한 최신 자금세탁 의심거래 동향을 공유했다. 대포통장·가상자산·가상계좌 등을 활용한 의심거래의 특징 및 이상거래 패턴을 설명하고, 투자 리딩방 사기·보험사기 등 민생침해범죄 의심거래 유형도 함께 논의했다.
FIU는 자금세탁방지 관련 2025년 교육운영방향 관련 세부 내용을 설명하고, 연내 자금세탁방지 교육관련 실태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안내했다.
윤영은 FIU 제도운영기획관은 “개정 업무규정 시행 이후에는 그간 대표이사가 승인해 온 AML 관련 규정이 이사회 제·개정 대상으로 승격되는 등 AML 관리·감독체계가 재정비되는 만큼 회사는 개정 업무규정의 취지를 고려해 전사적인 AML 역량 강화에 노력해 달라”며 “이를 위해 FIU도 내실 있는 AML 교육 프로그램 확충 등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