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질문 빠진 임시회…시민 불안 해소 기회 놓친 서울시 [취재진담]

시정질문 빠진 임시회…시민 불안 해소 기회 놓친 서울시 [취재진담]

기사승인 2025-05-07 18:59:50 업데이트 2025-05-08 08:33:52
서울시의회 제330회 임시회가 지난달 30일 종료됐다. 이번 임시회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시정에 복귀한 이후 처음 열린 회기였다. 특히 서울 곳곳에서 싱크홀이 잇따라 발생하고,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등 부동산 관련 현안이 쏟아지며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는 시점이었던 만큼 대응 방향을 점검할 필요가 컸다.

오 시장은 25일과 30일 본회의에 참석했다. 개회식 당시 예정된 5분 자유발언은 여야 간 이견으로 무산됐다.

시정에 대한 질의는 이후 일정에서 진행될 예정이었다. 여야는 시정질문을 4월30일과 5월1일 이틀간 진행하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이 일정 역시 결국 무산됐다. 회기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종료하는 내용의 안건이 지난 4월25일 오후 본회의에서 처리되면서다. 회기 단축의 이유로는 근로자의 날(5월1일) 출자·출연기관 직원들의 근무 부담을 고려했다는 점이 제시됐다.

공공기관 직원들의 여건을 고려한 회기 조정은 충분히 검토해볼 사안이다. 그러나 시민 불안을 키운 싱크홀 사태를 비롯해 주요 현안에 대한 시정질문까지 함께 생략된 데 대해서는 아쉬움이 남는다.

실제로 4월 중순 마포구와 중랑구 등에서 도로 꺼짐 현상이 잇따라 발생하며 시민 불안이 가중됐고, 이에 대한 서울시의 대응 방향을 직접 듣고자 하는 요구도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시정질문이 끝내 무산되자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이 항의하며 본회의장을 퇴장했고, 예정됐던 102건 중 83건의 안건만이 처리되는 등 회의는 파행으로 마무리됐다. 처리되지 못한 19건은 모두 민주당 의원들의 발의안이었다.

서울시장은 광역자치단체장 가운데 가장 많은 유권자에게 선택받는 자리이다. 그만큼 시민과의 소통 책임도 무겁다. 불편한 질의가 예고돼 있다 하더라도 시정 전반에 대한 의회의 질의와 견제에 응답하는 것은 시장의 중요한 책무다.

최근 활발한 외부 일정과 행사 참석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작 시정의 기본이 되는 의회와의 소통은 뒷전으로 밀린 모습은 서울시민들의 기대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현안이 산적한 지금, 시정의 중심은 어디에 있어야 하는지 돌아볼 때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
김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