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도 학교 위장전입 극성에 대책 부심

미국도 학교 위장전입 극성에 대책 부심

기사승인 2009-03-05 16:18:23
[쿠키 지구촌] 미국에서도 요즘 자녀들을 좋은 학교에 보내기 위한 위장전입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역 교육당국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고 미 시사주간지 ‘유에스 뉴스 앤 월드 리포트’가 최근 전했다.

뉴욕주에 사는 주부 욜랜더 힐(33)은 3급 중절도죄와 1급 문서위조 혐의로 재판을 받을 위기에 몰렸다. 자신이 거주하는 로체스터 시내 학군 대신 인근 그리스 센츠럴의 친정 엄마 집 주소로 자녀 4명을 위장전입시켰다가 적발됐기 때문이다. 거주지역 학군보다 부촌인 이 지역 학군이 학생 수가 절반이나 적은 데다 학업측정 시험에서 최우수권을 유지하고 있다는 게 위장전입 이유였다. 힐의 체포 소식에 같은 처지의 이 일대 10가구가 자녀들을 다시 실제 거주지로 전학시켰다.

또 지난 1월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경찰은 우수학군 학교에 보내기 위해 자녀의 허위주소를 기록한 부부에게 1인당 1만달러의 교육비를 반환하도록 조치했다. 위장전입 학생에게 지출됐던 교육비를 되돌려 받는다는 차원이다. 플로리다주에서 우수학군으로 통하는 브로우워드 카운티 교육위원회는 올해부터 “허위주소 기재시 체포된다’는 안내문과 함께 학생등록 서류 위조시 위증죄로 기소될 수 있다는 경고문을 삽입했다.

이처럼 위장전입이 빈번히 발생하자 학부모들이 나서서 교육당국을 압박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교외의 부촌인 그로세 포인트 주민들은 8000달러를 들여 관내 학생 9000여명을 전수조사해 위장전입 학생 40여명을 적발했다. 성적이 전국 60위권에 드는 캘리포니아주의 ‘미션 산호세 고등학교’ 학부모들은 위장전입 신고전화를 개설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의심가는 학생이 하교 후 학교에 등록된 주소지로 가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사설탐정을 고용해 미행을 시키는 등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한다. 워싱턴=국민일보 쿠키뉴스 이동훈 특파원
dhlee@kmib.co.kr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
이동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