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은행의 6월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부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구는 157만8000곳으로 집계됐다.
2016년 3월 기준 가계부채 위험가구는 126만3000가구로 전체 부채가구의 11.6%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동기(109만7000가구) 대비 16만6000가구(10.2%) 증가한 수치다. 위험가구가 보유한 금융부채 규모는 186조7000억원으로 1년전(157조원)보다 29조6000억원 증가했다.
고위험가구의 경우 2016년 3월 기준 31만5000가구(부채가구의 2.9%)가 62조원(총 금융부채의 7%)에 달하는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1만8000가구, 15조 6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또한 한국은행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국내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금리가 0.5%p, 1.0%p, 1.50% 상승할 경우 고위험가구는 지금보다 각각 8000가구, 2만5000가구, 6만가구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해당 가구의 부채 규모도 각각 4조7000억원, 9조2000억원, 14조6000억원 늘어나는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인한 대출금리 인상은 직접적으로 차주의 이자상환 부담 증가시키고 간접적으로 보유 자산 가치 및 소득 변화 등을 통해 가계 채무 상환능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고위험가구를 중심으로 가계부채 상환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면서 “금리가 단기간에 큰 폭 상승하는 경우에는 고위험 가구 및 부채가 비교적 크게 늘어나면서 가계부채의 취약성이 높아질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 금융기관들이 양호한 손실 흡수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능력 취약가계의 부실 증가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