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가 도시 미래 전략산업으로 '의생명산업'과 '디지털물류산업', '푸드테크산업', '액화수소산업'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는 김해시가 지난해 10월부터 1년간 김해 미래전략산업을 선정하고자 산업연구원에 위탁한 '미래전략산업 육성 중장기 로드맵 연구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제기됐다.
19일 김해시에서 개최한 최종 용역보고회에서 산업연구원은 김해시 산업의 SWOT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산업연구원은 김해시 산업발전 4대 기본 방향으로 '주력산업의 고도화와 신성장동력 산업 발굴' '주력산업의 위기 극복과 지역의 산업구조 다양성 확대' '글로벌 성장거점 구축과 지역의 신규 일자리 창출' '인적자원 선순환 환경 마련과 외부충격 길항력 제고' 등을 제기했다.
더불어 김해시 산업혁신을 주도할 10대 미래 전략산업으로는 국책사업과 연계 가능한 '3+1 전략 프로젝트'를 최종 선정했다.
이 프로젝트는 김해의 미래 신성장동력이 될 '의생명산업'과 '디지털물류산업' '푸드테크산업' '액화수소산업 등을 시 대표 주력산업으로 꼽았다.
보고서 계획대로 진행한다면 시는 오는 2033년까지 총 사업비 1조8320억원 규모(국비 8320억원 지방비 3885억원, 민자 6115억원)를 투자해야 한다.
세부적으로는 4개 프로젝트로 구성한 의생명산업의 경우 총 1150억원(국비 420억원, 지방비 675억원, 민자 55억원)을 투입한다.
3개 프로젝트로 추진할 '디지털물류산업'에는 총 1만560억원(국비 4950억원, 지방비 860억원, 민자 4750억원)을 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