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특례시가 최근 창원NC파크 재개장 추진과 관련해 일부 언론과 방송, 팬들 사이에서 제기된 ‘졸속행정’, ‘책임 회피’, ‘비용 전가’ 등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공식 해명에 나섰다.
시는 18일 입장문을 통해 "사고 발생 직후부터 창원시설공단, NC다이노스와 함께 합동대책반을 꾸려 공동 대응을 지속해왔으며 시설 보완과 안전 점검도 철저히 이행해왔다"고 밝혔다.
앞서 스포티비 해설위원, 일부 기자, 팬들 사이에서는 △창원시의 졸속 행정과 비용 전가 △사고 이후 미온적 대응 △울산행 발표 후 급한 재개장 추진 등의 비판이 제기돼왔다.
시는 지난 3월 29일 사고 발생 직후인 4월 3일부터 창원시설공단, NC 다이노스와 함께 합동대책반을 구성해 현재까지 총 6차례 전체회의, 20여 차례 실무회의를 통해 대응해왔다고 설명했다.
특히 구단에 일방적으로 비용을 전가했다는 주장에 대해 시는 "야구장 조속 정상화를 위해 초기 단계부터 사전 조치 후 사후 정산하기로 합의했고 루버 철거와 보완공사도 구단이 먼저 집행 후 정산키로 상호 협의한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울산 문수야구장 임시 사용 발표 이후 창원시가 태도를 바꿔 재개장에 나섰다는 일부 주장을 두고는 "5월 초 연휴 기간에도 정비를 지속했고 국토부의 5월 8일 공문에서 ‘재개장은 3자 합의로 가능하다’는 회신을 받은 후 5월 9일에 정비 완료 목표일(5월 18일)을 발표한 것"이라고 밝혔다.
정밀안전진단을 재개장 전에 마쳐야 한다는 국토부의 초기 구두 권고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이후 공문에서는 해당 내용이 제외되며 "정비와 진단 병행 추진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NC다이노스와 공단, 창원시가 함께 구성한 합동대책반은 안전 확보와 조속한 경기 정상화를 위해 지금까지 공동 대응 중이며 일방적 책임 전가나 태도 변화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부 언론의 오보성 보도와 왜곡된 팬 여론에 유감을 표하며 앞으로도 창원NC파크가 100만 시민과 팬들에게 다시 신뢰받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