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가 최근 타결된 한-미 관세협상을 경남 주력산업의 도약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대응 전략 마련에 착수했다.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31일 관세협상 발표 직후 "도내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신속히 분석하고 경남관계기관 합동으로 단기·중장기 대응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미국이 한국에 대해 부과 예정이던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자동차 관세를 포함해 반도체, 의약품 등의 주요 수출 품목도 불리하지 않은 조건을 확보했고 추가적인 농산물 시장 개방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도는 이에 따라 대미 수출의 핵심인 조선·자동차 산업의 수혜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경남의 올 상반기 수출액은 22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했고, 선박 수출은 31.6% 급증했다. 도는 자율운항선박사업과 중소형 조선 디지털 전환을 강화해 K-조선의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릴 방침이다.
자동차 산업 역시 수혜가 예상된다. 경남의 올해 상반기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17.99억 달러(전년 대비 10.8% 증가)로 4월 관세 25% 부과에도 불구하고 증가세를 유지했다. 다만 부품 수출은 관세 부담으로 3.1% 감소해 도는 생산성 향상·수출지역 다변화로 경쟁력 회복에 나선다.
한편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협력 펀드는 미국 조선소 인수·확장, 유지보수(MRO), 기자재 공급 등 우리 기업의 진출 확대를 위한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이다. 경남도는 이 기회를 자율운항 등 미래 선박 분야의 시너지로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도는 앞으로도 수출물류비 및 보험료 지원 확대, 해외 마케팅 강화, 수출 대체시장 발굴 등으로 기업들의 안정적 수출 기반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관세협상 세부 내용이 확정되면 한국은행 경남본부, 코트라, 무역협회, 중기청 등 18개 관계기관과 함께 대응 회의를 열어 정부 정책과 연계한 지역산업 활성화 전략을 본격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