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지난해보다 더욱 강화된 복지체계를 가동하며, 정신질환·학대·중독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에 놓인 시민 지원에 나섰다.
시는 8월부터 ‘통합사례관리 자문단’을 새롭게 구성해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5일 밝혔다.
통합사례관리 자문단은 정신건강, 학대 대응, 중독 상담, 신용회복 및 채무조정, 지역복지 등 5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됐다. 자문단은 각 구·군에서 진행 중인 고난도 사례에 대해 실무자들과 함께 논의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활동 기간은 2025년 8월부터 2027년 7월까지 2년간이다.
대구시는 이번 자문단 운영을 통해 사례관리의 전문성을 높이고, 단순 연계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개입과 지원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정신질환과 중독, 학대 등 중첩된 위기 상황을 겪는 가구가 늘어나면서 보다 세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실제, 50대 여성 A씨는 음주와 이상행동으로 인해 이웃 민원이 잦았으며, 전기·가스가 끊긴 상태에서도 복지기관의 개입을 거부해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자문회의를 통해 조현병 발현 가능성이 제기됐고, 정신과 치료를 우선 진행한 뒤 안부 확인과 추가 서비스를 연계하는 방향으로 결정됐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복합 위기 상황은 행정기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에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도 전문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위기 속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