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고리 원전 4호기가 설계수명 40년이 종료되면서 6일 오후 2시를 기해 가동을 멈췄다.
한수원은 전날 오전 4시부터 시간당 3%씩 4호기 출력을 줄였고 이날 오후 2시쯤 출력을 중단하고 전력 계통에서 분리했다.
정부와 원전 운영 사업자인 한수원은 4호기를 계속 운영하기 위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승인 심사를 받고 있다.
고리 4호기는 발전 용량 95만㎾의 가압 경수로형으로 1985년 11월 첫 발전을 시작했다.
운영 기간 꾸준히 설비 개선 등을 통해 현재도 전력 생산 기능에는 이상이 없지만 당초 설계에 명시된 운영 기한이 다 된 만큼 일단 가동 중지가 결정됐다.
정부는 향후 전력 수요와 신규 원전 건설에 드는 비용 등 경제성을 고려해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이라도 법상 추가 운영 기한인 10년간 더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한수원은 2023년 11월 원안위에 고리 2~4호기의 계속운전을 위한 운영변경 허가를 신청한 바 있다.
원안위가 고리2~4호기 계속 운전을 위한 운영 변경 허가를 승인한다면 2~4호기는 발전을 재개할 수 있다. 고리 1호기는 원전 해체 정책에 따라 2017년 6월 가동을 중단, 원안위가 지난 6월 해체를 승인했다.
이로써 해체 작업을 앞두고 있는 고리1호기, 수명이 종료된 고리 2·3호기와 함께 고리 1~4호기 모두 가동을 중단했다.
지역 환경단체들은 고리 2~4호기도 1호기처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탈핵부산시민연대 등 부산·울산·경남지역 환경단체는 이날 오전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자력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후핵발전소 수명 연장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고리 4호기 수명 완료와 가동 정지는 단지 행정적 절차에 따른 일시 중단이 아니라 탈핵 사회로 나아가야 할 이 시대의 분명한 신호"라며 "고리 1~4호기가 멈췄으나 전력 공급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리 2·3·4호기의 계속운전이 이뤄질 경우 인근의 신고리 1~4호기, 신한울 1·2호기까지 더해 부산·울산·경남 일대는 세계 최대 규모의 원전 밀집 단지가 된다"며 "이는 사고 시 연쇄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