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대한상공회의소 제공[쿠키뉴스] 김찬홍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기업들이 고용조정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9일 국내기업 30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고용·임금에 대한 인식조사’ 발표에 따르면 참여한 기업 40.5%가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하고 일감이 줄어 고용조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실제 인원을 감축한 기업은 9.0%, 즉 10곳 중 1곳 정도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기업들이 인원조정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인력감축 보다는 근로시간 조정, 휴업·휴직 등으로 힘겹게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기업 입장에선 나중에 상황이 좋아졌을 때 숙련인력이 없으면 업무에 문제가 생기고, 직원들도 회사 사정을 이해해 일시휴업 등에 기꺼이 동참하는 경우가 많다”고 이유를 분석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국내 기업들의 신규 채용은 줄어들 전망이다.
올해 채용 일정을 묻는 질문에 기업 31.2%는 ‘채용 일정을 미뤘다’에 답변했다. 19.3%는 ‘신규채용을 포기한다’고 답했다. ‘계획대로 완료한다’는 기업은 31.9%, ‘진행할 예정’이라는 기업은 17.6%에 불과했다.
기업의 임금 결정에도 코로나19의 여파가 있었다.
하반기 임금협상을 당초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응답은 24.3%, 일정이 지연되고 있거나 정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17.0%였다.
하반기에 임금협상을 진행해야 하는 기업 중 ‘임금을 동결할 예정’이라고 밝힌 기업이 54.8%로 절반을 넘었다. ‘인상할 예정’이라고 밝힌 기업은 36.3%였다.
대한상공회의소 자문위원인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기업들 위주로 임금협상이 진행돼 외견상 큰 문제가 없어 보이는 것”이라며 “하반기로 협상을 미뤄둔 기업이 많고 코로나 2차 충격 가능성도 있어 임금 관련 산업현장 갈등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kch0949@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