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제1차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의 국책 과제로 ‘디지털트윈 기반 바이오의약품 차세대 제조공정 기술 개발’이 최종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디지털트윈은 바이오의약품의 생산 공정을 가상 환경에 정밀하게 재현하는 차세대 제조 기술이다.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한다.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온도, 시간, 습도 등 다양한 조건을 일일이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하는 ‘실험 설계 방식’을 이용했다. 디지털트윈 방식을 활용하면 다양한 공정 조건을 ‘시뮬레이션’해 최적의 공정 조건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도출할 수 있다. 대웅 관계자는 “공정 개발 과정의 유연성을 높이고, 생산성과 품질을 개선하는 동시에 개발 기간과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과제는 디지털트윈을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에 본격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자동화·무인화·데이터 기반 제어 역량을 강화해 첨단 제조공정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할 것으로 대웅 측은 기대했다.
대웅은 이번 국책 과제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주요 공정인 세포 배양부터 정제까지 전 과정을 통합한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바이오의약품 제조에 적용해 실제로 잘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실증 연구를 수행한다.
대웅은 대웅제약 오송 스마트팩토리에 이미 디지털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이번 과제를 수행하면서 디지털트윈 기반의 공정 연구 결과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축적하고, 실제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자동화·무인화·디지털화를 접목한 차세대 제조공정 역량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유지민 대웅 바이오연구개발(R&D)센터장은 “이번 국책 과제는 미래 선도기술로 주목받는 디지털트윈 기반 공정기술을 실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에 접목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첨단 기술과 정밀한 데이터 기반 예측을 통해 국내 바이오 공정 산업 분야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