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의 ‘반(反)이재명 빅텐트’ 전망은 밝지 않다. 윤석열 전 대통령 계엄·탄핵 문제가 한동훈 전 대표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협력을 방해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반이재명 빅텐트’의 마지막 열쇠는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에 있다고 분석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은 13일 채널A 뉴스A에 출연해 “이 후보가 당 대표 시절 (저는) 같이 최고위원을 했다. 당 윤리위원회(윤리위) 축출 과정에서 함께 싸우기도 했다”며 “민주주의 비전에 관해 공통된 얘기를 할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 전 대표도 (선대위에) 어느 순간 함께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 명분을 김문수 대선 후보나 제가 줘야 한다”며 “승리를 하기 위해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김 공동선대위원장의 다른 숙제는 ‘중도보수’ 지지층을 가진 한 전 대표의 협조를 끌어내는 것이다. 한 전 대표는 선대위 참여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출당과 자유통일당 등 극단주의자 배제, 탄핵 반대에 대한 사과 등을 내걸었다.
‘친한계’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부산시당 출정식에서 “윤 전 대통령을 당장 출당시켜야 한다.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선거도 이길 수 없다”며 “당이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이번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다”고 소리 높였다.
‘반이재명 빅텐트’ 마지막 분기점은 이틀 뒤다. 김 공동선대위원장은 오는 15일 비상대책위원장 임명 후 김 후보와 함께 탄핵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뉴스쇼 “탄핵 찬성과 반대 입장을 가진 모든 국민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윤 전 대통령과 절연에 대해서는 “본인 스스로 재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당은 미래로 가야 한다”며 “그 부분에서 여러 논의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오는 15일 입장발표에서 ‘딜레마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대선 승리에 중도보수 표심은 필수적이지만, 자신을 대선 후보로 만든 강성 지지층을 외면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메시지가 명확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는 윤 전 대통령 관계를 정리해 한 전 대표의 도움을 받는 게 우선이라고 조언했다. 이를 통해 대결이 가능한 지지율을 쌓고, 이준석 후보에게 단일화를 제안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 겸 정치 평론가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한 전 대표와 이준석 후보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윤 전 대통령과 관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며 “계엄·탄핵에 대한 입장이 확고해야 한 전 대표와 친한계, 당내 중도보수의 지원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강성보수와 중도보수가 하나로 뭉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지지율을 따라가야 이준석 후보와 단일화 논의를 시작해볼 수 있다”며 “이 과정의 전제 조건은 윤 전 대통령의 탈당과 2선 후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