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달러화 강세에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두 달 연속 증가하며 4100억 달러를 상회했다. 운용 수익 증가와 외화 표시 채권(외평채) 발행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7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13억3000만달러(약 569조원)로 전월말보다 11억3000만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5월 말(4046억달러) 약 5년 만에 최소 수준까지 줄었다가 6월에 반등한 후 두 달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미국 달러화 강세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이 감소했으나 외화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신규 발행과 운용 수익 증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6월 26일 발행된 14억유로 규모의 외평채 발행 대금이 7월 중 납입됐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나눠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650억6000만달러)이 65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반면 예치금(212억5000만달러)과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한 특별인출권(SDR·157억1000만달러)은 각 52억9000만달러, 1억9000만달러 감소했다.
금의 경우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를 유지했다.
주요국과의 순위를 비교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6월 기준 4102억달러로 10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지난 3월 독일과 홍콩에 밀려 2000년 관련 순위 집계 이후 처음으로 9위 자리를 내주고 10위로 밀려났다.
중국은 322억달러 증가한 3조3174억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일본은 156억달러 늘어난 1조3138억달러로 기록해 2위에 올랐다. 스위스와 인도는 각각 6981억달러와 6887억달러로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러시아는 84억 달러 늘어난 6887억 달러로 5위로 집계됐다.
6위는 55억달러 증가한 5984억달러를 기록한 대만이 차지했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13억달러 감소한 4576억달러로 7위를 이어갔다. 독일은 1억달러 줄어든 4563억달러를, 홍콩은 8억달러 증가한 4319억 달러를 기록했다.